요즘 여름 날씨는 에어컨을 켜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정도로 덥고 습한 여름날씨가 되었습니다.
예전보다 에어컨 사용량이 많아진 요즘 에어컨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는 꿀팁을 알고 있다면 좀 더 저렴하게 오래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속형 vs 인버터형 현명하게 사용하기
정속형과 인버터의 차이는 압축기 모터의 차이입니다. 정속형은 모터 속도가 일정한 것을 말하는데 온도를 낮추든 높이든 일정한 속도로 돌아가기 때문에 온도가 희망온도에 맞춰졌다면 잠시 꺼두었다가 더워지면 다시 켜는 것이 좋습니다.
인버터형은 모터의 속도 조절이 가능한 것입니다. 따라서 껐다가 더워지면 다시 켜는 것을 반복하는 것보다 희망 온도에 도달했을 때 모터가 천천히 지속적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 훨씬 전기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2시간 정도 외출할 때에 인버터형 에어컨은 끄고 나가는 것보다 켜 놓는 것이 에너지 소비효율에 좋다고 합니다.
에어컨의 종류와 상관없이 에어컨을 처음 켤 때에는 가능하면 저온으로 강하게 트는 것이 좋습니다. 희망온도가 되었을 때 정속형은 껐다가 다시 더워지면 켜는 것이 좋고 인버터형은 시원해졌다면 희망온도로 올려서 끄지 않고 그대로 놔두는 것이 전기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정속형과 인버터형 구분하기
제조날짜 : 인버터 에어컨은 2011년 부터 생산이 되었기 때문에 그 이전에 생산된 것은 정속형 에어컨일 확률이 높습니다.
에너지 등급효율 : 인버터형의 에너지 등급은 1~3 등급에 해당되고 정속형 에어컨은 에너지 효율등급이 5등급입니다.
냉방능력, 정격능력 확인 : 인버터형 에어컨은 정속, 중간, 최소 세 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에어컨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된 '전기용품 안전관리 표시' 스티커에 '정격, 중간, 최소' 또는 '정격, 최소'라고 적혀있으면 인버터 에어컨이고 구분이 안되어 있다면 정속형 에어컨입니다.
에어컨 풍량 조절
에어컨을 처음 작동할때 온도를 높게 맞춰서 작동을 시작하면 내부온도가 서서히 올라가기 때문에 실외기 작동시간이 길어져 오히려 전기세가 많이 나옵니다.
따라서, 처음부터 풍량은 최대, 온도는 18도 정도로 나춰 빠른 시간내에 내부 온도를 낮춰주는게 전기세를 아끼는 방법입니다.
에어컨 제습기능이 전기세 절약?
에어컨에 있는 제습기능은 에어컨의 내부를 습하게 만들기 때문에 물기가 생겨 에어컨 내부에 곰팡이를 만들게 됩니다. 따라서 제습기능은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제습기능이 필요하다면 제습기를 이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가성비 제습기 추천 3 : 신일, 삼성전자, 한경희 장점, 단점 비교 - 알아두면 돈이 되는 쏠쏠한 정
점점 동남아식 열대기후처럼 변해가는 우리나라 기후에는 제습기는 이제 필수소형가전이 되었습니다. 요즘엔 에어컨의 제습기능을 많이 이용하긴 하지만 그래도 제 기준에서는 제습기만은 못
msk-solsol.com
'현명한 소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현명하게 고르기 팁! (0) | 2023.08.30 |
---|---|
냉장고를 현명하게 고르는 7가지 팁 (0) | 2023.08.29 |
현명한 지출과 소비를 위한 팁 (1) | 2023.08.29 |